글로벌 종합 상사 GS글로벌의
기회 및 위협요인을 소개하겠습니다.
_GS 글로벌_
*위협 요인*
1. Trading 성적 부진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 중심의 트레이딩 사업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해 석탄시장 진출을 꾀했습니다. 그 일환으로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BSSR석탄광 사업 지분을 GS에너지와 인수했습니다. 제품 다각화로 판매 물량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저수익 품목이 수주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되었습니다.
2. 새로운 전문무역상사의 등장
국내 유통기업들이 중소,중견기업 제품을 수출하는 무역상사로 변신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청이 신설한 글로벌 시장개척 전문기업들도 B2C 마켓을 기반으로 전문 무역상사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마트는 2013년 홍콩 왓슨 그룹에 자체 브랜드 상품 등을 공급하며 수출을 시작하였고, 2016년부터 본격적인 전문 무역상사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국내 유통기업들이 중소, 중견기업 제품 수출을 위한 무역상사로 변신하고 있으며 홈쇼핑과 백화점들도 중소, 중견기업 제품 수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기회 요인*
1. 전기차 사업협력
제인모터스와 GS글로벌 양사는 공동으로 전기 상용차 사업 모델을 구축하여 국내외 전기 상용차 시장에 진출하기로 했습니다. 양사가 보유하고 있는 사업역량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solution을 제공, 국내외 전기 상용차 시장을 개척할 것입니다.
2. 사우디 아람코와 에너지 투자분야 협략 MOU 체결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와 에너지 및 투자 분야 사업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석유, 가스, 석유화학 등 에너지 사업뿐만 아니라 건설과 무역 등 현재 영위하는 모든 사업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GS는 에너지 계열사인 GS칼텍스가 1969년 사우디로부터 원유를 수입하며 첫 협력을 시작했고 GS글로벌은 1988년부터 사우디 지사를 통해 중동 지역에 철강 등 산업 원자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GS건설은 사우디의 여러 설계, 조달, 시공 사업자로 참여하는 등 GS그룹은 사우디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약점*
1. 무역 비즈니스의 한계
그룹 계열의 무역 대행 업무를 수행하면서 매출 실적이 안정적이지만 영업 수익성이 낮은 동시에 현금 창출력이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GS글로벌의 영업이익률은 수 년째 1% 수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무역 사업이 산업 특성상 외부 요인에 민감하다는 점도 감안되고 있습니다. 국내외 경기와 환율 등락, 원자재 시황 등 갖은 변수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큰 업종으로 꼽힙니다.
2. GS엔텍, 양날의 검
GS글로벌이 2010년 인수한 GS엔텍의 선전 덕분에 설립 이래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GS엔텍이 오랜 기간 부진했던 탓에 재무적 투자자들이 최근 1년간 잇따라 풋백옵션(환매청구권)을 행사하면서 최대주주인 GS글로벌의 재무구조는 상당 부분 훼손된 상태입니다. GS엔텍의 선전에 힘입어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습니다. GS엔텍은 GS글로벌의 재무건전성을 악화시킨 주범으로도 꼽히기 때문입니다. GS엔텍이 자생력을 갖추지 못할 경우 GS글로벌의 재무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신규 수주 확보에 따른 현금 유입 구조가 안착되지 않으면 GS글로벌의 추가 자금 수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강점*
1. GS계열 기반 거래관계
GS글로벌은 철강, 석유화학 제품, 석유, 석탄 등 원자재 무역 사업 등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GS칼텍스 및 GS E&R 등 계열 기반의 거래관계 및 오랜 업력으로 축적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6년 자회사로 편입된 GS엔텍은 2015년 대규모 손실을 기록한 이후 생산 프로세스 개선 및 인력감축 등의 자구노력을 통하여 영업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2. 적절한 시장 전략
급변하는 시황에도 불구하고 세계 유수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 등 시의 적절한 시장 전략으로 국내외 철강금속 제조사와 수요가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GS글로벌은 30여 개의 해외 거점을 기반으로 한 Word Wide Network를 구축하여 수출, 수입, 삼국 간 및 내수거래, 해외투자사업, 수입자동차 물류서비스사업 등의 Global Business를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외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고급 강종의 프로젝트성 장기계약 체결과 신규 시장 및 수요가 개발을 통한 수출입 및 삼국간 거래 확대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Cooper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심 회사의 기원과 역사_기업 분석 1 (0) | 2020.09.25 |
---|---|
농심 메가마트의 역사와 사업 이념_기업 소개 (0) | 2020.09.24 |
GS글로벌, 고객 분석 및 사업 전략 소개 (0) | 2020.09.20 |
종합상사 업계 트렌드 및 GS글로벌과 제인 모터스 (0) | 2020.09.19 |
GS글로벌 Investment 분야, SOC사업 및 프로젝트 사업 (0) | 2020.09.18 |
댓글